반응형

서울에서 1시간 30분 정도의 거리라 부담 없이 갈 수 있는 곳이다.
지난 번 유명산 자연휴양림 여행이 좋았어서, 이번에도 금요일 퇴근 후 출발했다.
토요일에 눈을 떴을 때, 눈앞에 산이 있고 공기가 좋은 자연 속이라는 게 정말 좋았다.
하룻밤 뿐인데도 그 하루는 며칠의 가치를 하더라.
금요일 밤에 가서 토요일에 서울로 오니, 차도 안 막혀서 더 좋다. 게다가 일요일 하루가 또 남아 있어서 더 여유롭다. 휴양림 예약이 쉬운 것도 장점이다.


금요일 밤에 와서, 저녁을 먹고(먹고픈 걸 테이크 아웃) 맥주 한잔 마시고 푹 자고 일어난 아침 풍경이 이렇다면... 정말 일주일간의 피로가 다 풀린다.


문을 열고 들어 서면 보이는 주방 겸 거실.
확실히 낡은 티가 나는 곳이다.
하지만 매우 청결하고, 하룻밤 지내기에 불편함은 없는 곳이다.
한겨울 눈오는 날 찾았는데도 참 따듯했다.


욕실


방 안이다.
낡은 티비지만 시청에 지장 없고
침구는 면보로 싸여 있어 볕에 말린 깨끗한 것이다.
샤브샤브용 소고기와 숙주 나물을 간장만 둘러 볶은 소고기 숙주 볶음.
안주다.
맥주 한잔 하면서 삼시세끼 어촌편을 보며 깔깔 웃었다.
출출해져서 봉하마을 컵누룽지를 뜯어 물 부어 먹었다.

퇴근 후 2시간 남짓이면 산공기 마시며 여행언 기분 내는 것이다.


아침에 보이는 풍경.

한바퀴 산책하며 푹 쉬다가
서울로 돌아 간다.


서울로 돌아 가는 길에 아침 겸 점심을 먹는다.
오늘은 두물머리장어명가.
오랜만에 장어를 먹는다.
조금 이름 시간이지만 무척 친절하게 잘 맞아 주셨다.


날씨가 좋아서 볕이 환했다.
겨울이지만 무척 밝은 날이었다.
산음 휴양림 물이 좋아서인지 씻고 나와서 너무 개운하다.

점심 메뉴를 주문했는데
찬도 맛있다. 다만 조금씩 달다.
서울 수도권의 '단맛+매운맛' 사랑은 너무 심해진 느낌. 그래도 여기는 심한 정도는 아니다.


장어가 정말 맛있었다.
괜히 장어명가가 아니다.
가끔 여기 생각이 나서 또 가고 싶더라.


두물머리장어명가 식당 바로 맞은 편의 쿠마 커피.
그냥 관광지 국도의 그저그런 커피집인줄 알았는데 어휴... 커피맛 진짜 좋았다.
실내 풍경도 보통 분위기가 좋은 게 아니고.
장어도 맛있게 먹고 커피도 기대치 않게 좋아서 기분이 어찌나 좋던지...

금요일 밤 여행치고는 진짜 실속 있는, 여유로운 여행이었다.

반응형
반응형

오모테산도역 주변 거리에서 눈요기를 하면서 걸어가니 네즈 미술관이 나왔다.

겉에서 볼 때는 작은 민속 박물관같았는데, 입구를 들어가자마자 스타일의 정수가 나타났다.

엄숙하기도 하고 위엄이 느껴지는 입구였다.

천 엔이라는 입장료에 비해 전시의 질은 개인 소장품전시 정도였는데, 이 미술관의 백미는 야외 정원이었다.

앙코르와트가 연상되는 원시림같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과, 잘 단장된 인공적인 양식의 일본 정원이 묘하게 균형을 이루는 곳이었다.

천천히 한 바퀴를 걸으면 4~50분은 족히 걸릴 큰 규모의 정원이 도쿄 한 복판에 위치한 것이다.

게다가 작은 연못같았던 곳은 꽤 큰 강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등 놀라운 풍경이 가득했다.

우리는 중간 쯤 산책을 멈추고 네즈 카페로 들어가 커피를 한 잔 마셨다.

창밖으로 보이는 자연은 그저 대단하다는 말 밖에는 나오지 않을 만큼 비현실적으로 아름다웠다.

일본은 커피가 맛있다더니 정말 맛있었다.

날씨마저 반짝이고 햇볕이 가득 들어 그저 바라보기만 해도 시간이 훌쩍 흘러갔다. 이 모습이 아까워 우리는 동영상을 꽤 찍었다.

 

 

미술관 입구

 

 

 

 

 

바로 옆, 번화가로부터 가지고 온 복잡한 생각을 내려 놓으며.

 

 

 

 

 

 

 

 

 

 

 

 

 

 

 

 

 

 

 

야외정원으로 들어서는 입구

 

 

 

 

엘리베이트도 젠 그 자체

 

 

 

물품 보관소 디자인도 엄격함이 묻어난다.

 

 

 

 

 

 

 

 

 

 

 

 

 

 

 

 

 

 

 

 

 

 

 

 

 

 

 

 

 

 

 

 

 

 

 

 

 

 

 

 

 

 

 

 

 

 

 

 

 

 

 

 

 

 

 

 

 

 

 

 

 

 

 

 

 

 

 

 

 

 

 

 

 

 

 

 

 

 

 

 

 

 

 

 

 

 

 

 

 

 

 

 

 

 

 

 

 

 

 

 

걸으면 걸을수록, 새로운 자연의 색이 나온다.

 

 

 

 

 

 

 

 

 

 

 

 

 

 

 

 

 

 

 

 

 

 

 

 

네즈 카페 입구

 

 

 

 

 

 

 

 

 

 

 

 

 

 

 

 

지붕이 한지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자연광이 은은하게 들어온다. 밝고 따듯한 공간이다.

 

 

 

 

 

 

 

 

 

 

 

 

 

 

 

 

 

 

 

 

 

 

 

 

 

 

 

 

 

 

 

 

 

 

 

 

 

 

반응형
반응형

(디카 베터리가 다 되었었는데, 가까스로 한 장을 찍었다.)

가옥이 비교적 깨끗하게 남아있는 것으로는, 이영춘 가옥과 히로쓰 가옥이 있는데 먼저 이영춘 가옥.
이영춘 박사는 일본인의 초대로 군산에 오신 분인데 한국의 슈바이처였다고 한다.

이 분이시란다.

당시 건물 사진들이 남아 있어서 디카로 역시 찍어 봤다. 이 건물은 군산 이사청.

군산부청

군산 시청.

전부는 아니더라도 몇 개는 남겨 두어, 군산의 근대 건축 거리가 좀 더 풍부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이런 건축물들은 '수탈과 식민'이라는 역사적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한편으로 '산업유산'이라고 해서 우리의 산업이 근현대를 지나면서 어떻게 왔는지 알 수 있는 건축물들이 있다.
대표적인 것이 부산의 '남선창고'인데,
소위 부산 사람들치고 남선창고에서 나오는 명태를 안 먹어본 이가 없을 정도로
그 유통과 산업의 역할을 단단히 했던 건축유산이다.
그런데 이 남선창고가 얼마 전 허물어지기로 했단 소식을 들었는데 너무 안타깝더라.

참고로 부산의 <남선창고>

이건 군산의 조선은행 뒤로 난 철로 주변의 창고들이다.
현재 이 창고들은 철거된 곳도 있지만 반 정도는 바로 앞 가구골목의
창고로 쓰이고 혹은 다른 용도로라도 쓰이고 있었다.

(이 사진 출처는 http://fahl.hanyang.ac.kr/ 한양대학교 동아시아 건축 역사 연구회)

이건 시내 동국사와 히로쓰 가옥을 가는 길에 볼 수 있는, 군산부윤관저.
현재 음식점으로 쓰이고 있었는데 물론 간판이며 모양새가 수려하거나 현명하게 리모델링된 것은 아니지만
폐쇄된 흉가처럼 있다가 철거되어 사라지는 것 보다는 낫다.


다시 이영춘 가옥으로 돌아와서, 입구.

초입.
아침인데다가 전 날 눈이 오고 흐린 날씨여서 마치 헨젤과 그레텔이 사는 으스스한 분위기가 난다.
영화 장화, 홍련 기운도 나고.

일식 가옥의 현관.

측면에서 보기.

뒤쪽은 나무와 돌, 시멘트로 정말 단단하게 지었다.
겨울 아침에 보려니 실내가 엄청 추울 것 같은 인상도 받았다.

벽난로가 있어서 집 뒤엔 이런 화기구가.



색이 참 고와서. 달린 등의 흰색도 예뻤고,
특히 창문에 조금씩 보이는 흰 레이스 커튼이 정말 좋았다.

뒤뜰에 앉은 겨울.


반응형
반응형


군산 내항은 우리나라 식민 시대를 짚어볼 수 있는 결정적인 장소들 중의 한 곳이다.
마침 군산세관에서 도슨트로 계시는 분의 이야기가 기억에 깊이 남는다.
이 분이 얼마 전 일본인 대학생들을 맞았는데 이 친구들이 일본 정통 우익 출신의 보수적인 학생들이었단다.
그런데 이들이 조선이 일본의 식민시절일 때의,
당시 미곡 수탈에 대한 기록들에 대해 매우 소상히 알고 있고 또 관심도 많은 사람들이었는데,
이들이 그 일들에 대해 하는 말이 참 무서울 정도였다.
즉 이들은 일본이 당시 조선으로부터 미곡 수탈을 했기 때문에
오히려 일본에서의 쌀 산업이 발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하더란다. 
보수와 민족주의가 함께 간다는 사실은 돌이켜보면, 일본 민족을 위한 보수주의자들은 그 민족의 생존을 
염려하는 뜻이다. 진짜 보수라면 민족주의와 분리될 수 없는데, 우리나라의 보수들은 그렇지 않아서
갈 길이 멀다는 생각을 했다.

그들의 입장대로 진정 일본국민을 위한다면 조선의 쌀을 수탈하거나 전쟁을 벌이기 보다는
내실을 기했어햐 하기도 하다.
즉 일본이나 조선이나 가난한 사람들은 국가가 부르면 징병되어 전쟁에 나가야 하고,
조선에 가면 돈을 벌 수 있다더라는 '노다지' 풍문에 조선으로 와서 밀정을 하거나
이런 내항에서 노동일을 하며 '생존'을 위해 살 수 밖에 없는 것이 당연하다는 논리이다.

하지만 이런 경제적인 관점에서만 자신들을 방어하려하는 정도는 '최선인 역사의식'과 거리가 멀다.
그저 '반성'과 '성찰'을 모르는 무식한 국민이라는 소리를 들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 그 뜻이다.
경제적 관점은 그 카테고리 안에서의 의미가 있는 것이지
이미 벌어진 전쟁과 식민이 어떤 역사적인 해를 끼치고 병들게 했는지에 대한 개념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 역시 그렇다.
무조건적인 식민 역사 지우기와 거짓역사로 국사 교과서에 '새칠하기' 정도로는
누가 우리에 대해 '존중'을 해 줄까. 우리 스스로 우리의 과거를 민망해하는 친일 보수가 판을 치는데 말이다.



부잔교 입구

당시 부잔교


당시 내항과 일대의 일본인 거주지.



아, 서해는 갯벌이 있지! 갯벌을 보면 들뜬다. 자연이 이리 가까웠던가 하는 미안함도 들고.






   근처 풍경-
반응형

'여행 기록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 군산 (8) - 구 조선은행, 구 십팔은행, 백년광장  (9) 2009.03.06
겨울 군산 (7) - 이영춘 가옥  (6) 2009.03.06
여행 권하는 사회  (13) 2009.02.28
강릉 여행  (4) 2009.02.28
3월 여행지 몇 곳  (0) 2009.02.24
반응형

1. 강원도 강릉 
- 강릉 바다와 색다른 체험 공장과 예술 마을
- 횡성 한우와 강릉 초당 순두부, 장작 돌판 삼겹살과 회
(1인당 회비 숙소비 7~8만원)

1일:
10시 - 서울 출발, 사당역 1번 출구 앞(예술의 전당 방면) 모임.
12시 - 점심, 횡성 한우  (1만 5천원)
          or 봉평 막국수 등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 (5천원~7천원)
3시 30분 - 강릉 도착 커피공장 테라로사 구경 http://www.terarosa.com 
               커피 한 잔 or 빵 (개인이 알아서)
4시~5시 - 하슬라 아트월드 구경 http://www.haslla.com (5천원)
6시 - 펜션 도착, 휴심 http://www.hyusim.com (방 2개 15만원/ 1인당 2만원)
7시 - 저녁, 장작 돌판구이+회 (1인당 - 3만원)

2일:
12시 - 강릉 초당 순두부, '그 옛날 초당 순두부'(653-1547) (개인 비용)
1시 - 경포대 해수욕장, 선교장
5시 - 서울 도착

2. 경상북도 영주, 안동
- 고택 체험과 전통 건축의 백미 답사
- 영주 인삼 한우와 안동 전통 찜닭

(1인당 회비 7~8만원)

1일:
8시: 서울 출발 
10시: 영주 부석사 (우리 건축의 백미)
12시: 점심, 영주 인삼 한우 (1만 5천원) 
2시: 안동 하회마을, 병산서원 산책 (둘 다, 우리나라 최고의 절경들 중 하나)
5시: 저녁, 안동 시내 찜닭 (1만원)
6시 30분: 농암종택 http://www.nongam.com (방 2개 10만~12만원)
              군자마을 http://www.gunjari.net/coding1/sub5/sub1.asp  (독채 10만~15만원)
              먹을거리를 따로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비용 1인당 1만원~2만원)
2일:
10시: 아침
11시: 농암종택을 내려오면서 퇴계 오솔길 산책
12시: 점심 - 생각 중 (1만원)
1시: 안동 댐의 월명교 구경
5시: 서울 도착

3. 전라북도 부안
- 서해안 고속도로 따라 가는 갯벌과 낙조, 곰소염전 출사
- 해물 샤브샤브 칼국수, 서해안의 제철 모듬회, 백합죽

(1인당 회비 7만~8만원)

1일:
9시: 서울 출발
11시 30분: 점심, 충남 서천 금강 하구둑 내 '하구둑해물칼국수' (5,500원)
               금강 하구둑 갈대 구경
1시: 신성리 갈대밭 산책 http://korean.visitkorea.or.kr/kor/ti/everywhere_sightseeings/type_sightseeings/list_677.jsp?cid=129457 
3시: 부안영상테마파크 (3천원)
4시: 격포항
6시: 모항 채석강리조트유스호스텔 (6인실 방 2개 13만원)
       http://www.chaesukgang.co.kr/
7시: 저녁, 회 (3만원)

2일:
10시: 아침, 백합죽
11시: 내소사 전나무숲길 산책
12시: 점심
1시: 곰소염전, 곰소항
곰소염전 http://www.ntrust.or.kr/zerob/bbs/zboard.php?id=2007_vote_01&no=29 
곰소염전(<식객> 제17화 소금이야기 편) ●063-582-7511 ●부안군 민원실 063-582-7117
5시: 서울


반응형

'여행 기록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행 권하는 사회  (13) 2009.02.28
강릉 여행  (4) 2009.02.28
고택에서의 하루, 안동 수애당  (4) 2009.02.03
겨울 군산 (5) - 적산가옥들과 거리 풍경  (5) 2009.01.07
겨울 군산 (4) - 동국사  (3) 2009.01.07
반응형
안동은 서울에서 3시간 정도의 거리인데도 개인적인 추억이 없어서인지, 멀게 느껴진다.
그런데도 은근히 안동은 즐겨, 자주 찾았다.
영주 부석사보다 더 좋아하는 병산서원이 안동에 있고,
닳고 닳도록 들은 도산서원, 소수서원이나 하회마을은 산책을 할 때 마다 감탄을 하는 곳이다.

권사님이 내려가 군불을 지피고 사람이 드나드는 곳으로 만들어 둔 하회마을 안의
'번남고택'이
영월 우구정가옥처럼 작은 가정집 같다면,
안동 '수애당'은 단체 MT를 받아도 넉넉히 수용할 정도로 살림살이가 큰 집이다.
(안동 농암종택과는 또 다른 규모)


아침상



반응형

'여행 기록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 여행  (4) 2009.02.28
3월 여행지 몇 곳  (0) 2009.02.24
겨울 군산 (5) - 적산가옥들과 거리 풍경  (5) 2009.01.07
겨울 군산 (4) - 동국사  (3) 2009.01.07
겨울 군산 (3) - 히로쓰 가옥  (4) 2009.01.03
반응형








히로쓰가옥과 동국사가 있는 지역을 하염없이 골목 골목 걷다 보면
신선하기도 하고, 정겹기도 하고, 또 스산하기도 하다.
<8월의 크리스마스>가 촬영된 곳이니 그립고 다정한 길들이기도 하지만,
시 재정으로 사 들여 보수하거나 혹은 보수를 보조하지도 못하기 때문에 방치된 건물들을 보면 스산하다.
또, 개인이 잘 개조하여 정돈된 2층 집들을 보다보면 이국적이고 신선하다.
그래서 일본의 한 일간지는 군산을 두고 70년대 동경의 모습이라고 했는지도 모르겠다.

남은 사진들을 그냥 나열해본다.

http://fahl.hanyang.ac.kr/ 한양대학교 동아시아 건축 역사 연구회 사이트에서
50년대 일본 동경의 사진들을 가져왔다.

미군이 찍었다고 하는 50년대의 동경.

60년대의 군산 풍경. (인터넷에서 수집)

&


현재의 군산이지만, 다정하기도 하고 스산하기도 한 오래된 기운.
타일은 늘 좋아하는 소재.

작은 세탁소들도 보이고, 골목길도 이차선인... 시원시원한 길들.

















반응형

'여행 기록 - 국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 여행지 몇 곳  (0) 2009.02.24
고택에서의 하루, 안동 수애당  (4) 2009.02.03
겨울 군산 (4) - 동국사  (3) 2009.01.07
겨울 군산 (3) - 히로쓰 가옥  (4) 2009.01.03
겨울 군산 (2) - 구 군산세관  (4) 2008.12.31
반응형

지금은 유일하게 남아 있는 일식 사찰.
(종파는 조계종)

얼마 전까지 공사 중이어서, 기대하지 않았는데
다행히 방문했을 때는 개방을 한 상태여서 진짜 기뻤다. 환호~
환율 때문에 기와만 국산으로 하고 나머지는 모두 일본에서 전량 공수해서 그대로 재현, 보존하려고 애썼다.


측면과 뒷 편.

뒷 편의 대나무 숲.

대웅전 옆의 종.
저렇게 네 기둥이 모두 있는 것은 지진 대비를 위한 것.

무슨 식물일까

반응형
반응형

(맘먹고 슬라이드 필름을 썼는데 흥분해서 흔들렸다)

다시 군산 시내 쪽으로 와서 찾아간 곳은 히로쓰 가옥.
지금은 전면 공사 중이라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하지만...)



필름이 떨어져서 디카로 찍은 것들. 영화 타짜에서 백윤식의 집으로 나온다더라.

집 뒤로 빠져 나오니 이런 모양새더라.

현관 옆의 쪽문에서 바라본 집 앞.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