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사람은, 말하는대로 움직이게 되어 있습니다. 생각하는대로 살게 되어 있습니다.

저는, 결혼을 앞둔 남자들이 하루에도 수십번씩 '이 여자와 살아야 하는 이유, 이 여자에게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이유, 이 여자를 나의 분신이라고 생각해야 하는 이유' 등을 떠올려 봤으면 좋겠습니다. 그 생각이 행동이 되니까요. 그런 생각을 매번 하게 되면, 정말 그녀와 평생을 살아야 하는 이유가 생기고 당연히 그녀를 택해야 하는 이유도 생깁니다.
어쩌면 결혼도 일종의 마취입니다. 중간 중간에 생살을 찢는 아픔같은거 있을 수 있거든요. 그런데 고스란히 생살을 내 놓으면 너무 아파서 견딜수가 없습니다. 그때는 일부지만 마취가 필요합니다. 그 마취가 '저 남자를 날 너무 사랑해.' 하는 것입니다.
그 힘이 아픔을 견딜수도 있게 하고 다시 살이 차오르게 하는 에너지가 될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 사랑이라는 것도 표현이 되어야 하는데  '너 밖에 없어.' 라는 것들이 갈등없이 흘러나와야 여자도 오롯이 아무런 의심없이 남자에게로 갈 수 있습니다.

=
결혼은 내가 가진 반쪽을 비워, 사랑하는 사람으로 채워넣는 일입니다.
그 동안은 나의 자아와 나의 일과 나의 가족들로 전부를 채웠다면, 이젠 한 여자를 맞이하면서 조금씩 줄여야 합니다. 그래야 한 여자를 진심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아무것도 양보하지 않고 비우지 않고 욕심 그대로 채워놓고 또 한 여자를 안으려면 무언가는 반드시 얼마 못가 튕겨나가게 되어 있는데, 대부분은 적응하지 못하는 '사랑하는 사람'이 튕겨나가게 되어 있습니다. 직장에서도 텃새가 있듯이 나의 내부에도 그동안 나와 함께한 것들이 텃새를 부리기 때문이죠. 그것이 일이 될수도 있고, 자아가 될수도 있고, 가족이 될수도 있습니다.

섭섭함으로 어머니, 가족, 일을 감싸고, 지금의 여친을 잃는다면 님은 전혀 약을 삼키지 않고 그냥 시늉만 한 것에 불과합니다.
삼킬 수 있어야 어른이 되고, 결혼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입에 넣긴 해야 하는데 막상 삼킬려느 너무 쓴거죠. 그래서 내가 왜 이런 고통까지 감수해야하는가, 하는 의문도 드실겁니다. 그런데 결혼 뿐 아니라도, 언젠가 님이 가족, 어머니로부터 독립을 시도하시려면 꼭 필요한 과정 중의 하나입니다. 언제까지 어머니의 아들 역할만 할 수는 없을테니까요. 성인이 되고 한 여자를 사랑하고 , 그 여자와 가정을 꾸리려면 어머니의 아들 역할을 많이 줄이셔야 합니다. 어머니의 아들은 내 선택이 아니지만, 한 여자의 남편은 내 선택이고 내 의지이기 때문입니다. 그 선택엔 반드시 책임이 따라야 하고, 그 책임중엔 '쓴 약을 삼키는 일'과 '아들 역할을 대폭 줄이는 일' 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금 그녀는 단순이 시어머니가 두려워서 만은 아닙니다. 시어머니가 내 남자를 채갈까봐서도 아닙니다.
그녀는 지금 열심히 내 자리를 찾는 중입니다. 새 집, 내 집이라고 해서 갔는데, 옛주인 물건이 고스란히 남아 있고, 아까워서 버리지 못하니 그냥 두고 살자 한다면 그녀 또한 새로운 각오를 할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지금 나름으로 내가 한 집의 주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자리 비우기'를 그에게 강요하는 겁니다. 그래야 내가 싸가지고 간 나만의 보따리를 풀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내가 정든 물건인데 같이 좀 살아도 되련만, 그것까지 치워달라는 그녀를 섭섭하게만 볼 일이 아닙니다. 그것을 다 치울 준비가 되어 있어야 그녀를 맞이 할 수 있습니다. 그건 버리지 말고 그저 옛주인에게 돌려주면 됩니다. 그녀는 버리라고 말하는 게 아니라 치우라고 하는 것일 뿐입니다. 내가 바보같아서 버리라고 들어버린 겁니다.  비록 어설프지만 어른 노릇 제대로 해보겠다고 각오한 두 남녀가 만나 처음엔 절뚝이며 서툰 걸음이지만 서로 의지하고 기대면서 하나의 가정을 꾸리야 예쁜겁니다

=
결혼은 내 인생을 새롭게 세팅하는 중요한 시작입니다.
우리는, 부모에게서 독립하여, 부모와 함께 살아온 시간보다 훨씬 더 많은 세월을 앞으로 살아야합니다. 공부하고 직업을 얻고 인생을 준비하던 시기를 마치고 이제 본격적인 인생의 레이스를 시작하는 출발선에 섰습니다. 결혼은 이 모든 것을 나 혼자서 하지 않고, 누군가와 같이 하는것입니다. 결혼은 사랑하는 남자와 단순히 같이 사는 것이 아닙니다. 누군가와 내 인생의 앞날을 ‘동업’하는 것입니다. 결혼은 내가 앞으로 내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 생각하고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에 맞는 파트너를 결정하는, 인생에서 어쩌면 가장 중요한 일입니다.

=
여자들이 결혼하면서 또 하나 잘못생각하는 것이 있습니다. 내가 그 사람에게 어떤 존재인지만을 의식한다는겁니다.
결혼은 그저 남녀가 만나서 같이 살면서 서로가 서로의 인생에 시너지 효과를 일으키는 겁니다. 혼자서 해야하는 일상보다는 둘이 하는게 돈이 조금 덜들고, 혼자서 하는 것보다 같이 하는게 정서적으로도 안정되고…. 둘 모두의 인생이 다 소중한겁니다. 한 사람이 다른 한사람의 뮤즈가 되거나 자신을 바쳐 다른 사람의 인생을 꽃피우게 하는거…그거 힘든겁니다. 그저 상대의 존재만으로도 의미가 있는 관계가 건강한겁니다. 더 이상의 것을 하려고 하거나 바라는건 반칙입니다.
내가 상대를 위해서 희생하고, 내것을 버리고, 그래서 존재의의를 찾으려고 하면 안됩니다. 오랜세월의 학습효과에서 자유롭지 못한 여자들이 늘 자신을 희생하는 자리, 양보하는 자리 , 참는 자리에 갖다 놓는데…….이거 자기 인생만 망치는게 아니고 다른 여자들 물먹이고 내 딸의 앞날을 암담하게 하는겁니다.

=
사실은 결혼하지 않아도 충분히 혼자 살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놓는게 가장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혼자 살수도 있지만….좋은 사람을 만나서 같이 사는 선택을 하는거….그렇게 하는게 가장 올바른 결혼의 모습이지요.  굉장히 독립적이고 자발적인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여자들 남편에게 많은걸 의지하고 싶어합니다..결혼은 내가 의지할 사람을 찾는게 아닙니다. 내가 갖고 있는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사람을 찾는 것도 아닙니다. 내가 부족하고, 내가 원하는 것을 얻게 해줄 사람을 찾는 것도 아닙니다. 그런 사람을 찾으려고 생각하는거, 원하는건 자유지만…..그런 능력있는 남자 그리 많지 않습니다.
평생 살면서, 내 문제를 해결해주고 원하는 걸 얻게 해주는 그런 인간관계는 부모가 끝입니다.  남편은 아버지가 아닙니다. 남편에게 엄마와 같은 것을 기대하거나 아빠의 역할을 기대하면…..바로 파탄입니다. 남자들이 얼마나 남을 배려하고 얼마나 책임감있게 키워졌다고 여자들에게 그런 존재가 될 수 있겠습니까. 그저 나와 비슷한 능력과 비슷한 그릇을 갖고 있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반응형

'밑줄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문인  (0) 2008.11.07
예기 중에서  (4) 2008.11.02
<거짓된 진실>  (2) 2008.10.11
연인을 사랑하는 이유  (5) 2008.10.07
오늘의 사랑  (2) 2008.08.13
반응형
괴물들이 있기는 있다. 그렇지만 진정으로 위험한 존재가 되기에는 그 수가 너무 적다. 그보다 더 위험한 것은 평범한 인간들이다. 의문을 품어보지도 않고 무조건 믿고 행동하는 기계적인 인간들 말이다.
- 프리모 레비
반응형

'밑줄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기 중에서  (4) 2008.11.02
'동업'에 대한 퍼온 글 (캡사이신님)  (4) 2008.10.22
연인을 사랑하는 이유  (5) 2008.10.07
오늘의 사랑  (2) 2008.08.13
2008.6.27  (3) 2008.07.03
반응형

나와 나의 연인은 친구사이도 아니며, 선후배도 아니고, 부부나 형제는 더 더욱 아니다. 오가다 정이 든 지인도 아니고 직장 동료도 아니었으며, 고향도 달랐고 심지어 이웃조차도 아니다.  이렇게나 완벽한 타인이었기 때문에 나는 사랑 외엔 다른 생각을 할 겨를이 없다.”

- susie philos, background of beautiful surprise 중에서

 
p.s
she is sort of my persona i creative.

반응형

'밑줄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업'에 대한 퍼온 글 (캡사이신님)  (4) 2008.10.22
<거짓된 진실>  (2) 2008.10.11
오늘의 사랑  (2) 2008.08.13
2008.6.27  (3) 2008.07.03
oh my twein  (0) 2008.06.09
반응형

집주인 아주머니께 뭔가 번드르르한 것을 하나 드린다고 코스트코를 갔다.
(집세 올려 받는 것 등등 세입자 입장에선 이렇게 선물 하나 해 주고 내 편으로 만드는 것이 백 배 나음 으흐)
마트 장보기 기본으로,
9천원 쯤 주고 벨기에 초콜릿 포장을 하나 사고, 코스트코 모듬 초밥+회를 만원 주고 사고,
맥주 6들이를 2만 4천원에 샀다. (낑낑거리고 오면 그래도 수퍼보다 6천원 절약 TAT)


그리고 이 번에 시도해 본 것은 사진에 보이는 8,900원짜리 소세지.
이름은 <비이슈트 모듬소세지>
어제 먹어 봤는데 맛있었다! 특히 저 녹색은 '먹기엔 너무 두려운 색깔'인데, 청양고추 소세지로... 매우 산뜻!
그리고 아몬드 소세지, 야채 소세지 모두 대만족. 양도 많고... '에센뽀득'을 편의점에서 사 먹는 거 두 개면 저걸 산다. 흑흑

p.s
엥겔지수는 하늘을 찌르는구나.
반응형
반응형

해운대 버스 종점의 2,500원짜리 소고기국밥을 잊지 못해 (지금은 3천원으로 올랐다고 한다)
뱅뱅 사거리의 7,700원(10% 부가세 포함, 우라질레이션) 짜리 국밥을 먹으러 갔다.

집에서 부터 걸어서 갔는데, 약 35분 쯤 걸렸다. 유난히 더워서 힘들었다. 가을 아침 볕은 따가웠다.

오전 10시에 도착했는데, 영업 준비 중이라고 10시 50분에 다시 오라고 했다. 그래서 맞은 편 별다방에서 레모네이드를 벌컥 벌컥 들이켰다.
11시에 다시 갔을 때는 이미 자리가 꽉 차 있었다.  '국밥'집이라고 생각하고 갔는데, 고급 고기집이어서 좀 놀랐다. (특히 국밥 가격을 보고 더 경악!)  메뉴판을 봤는데 고기 값이 너무 비싸서, 다시 올 일은 없겠다고 생각했다. 여의도 무등산도 그렇고 왜이렇게 한우집이 각광을 받는지 모르겠다. 다들 부자인가?

이 집은 11시 부터 영업이 시작하는데, 12시 이전까지 갈비탕이 150그릇 정도 나온단다. 즉 갈비를 손질해서 내 놓는 국밥이랑 다른 고기 때문에 갈비를 오전에 삶고, 그 걸로 갈비탕을 낸다. 그래서 하루에 150 그릇 정도만 갈비탕을 주문받을 수 있단다. (부가세 포함 14,300원) 그래서인지 아줌마들로 문전성시를 이루었다.
갈비탕부터 먼저 나오고 20분 후, 11시 50분에 마침내 소고기 국밥이 나왔다. (50분 기다렸다...)

참, 밑찬은 간소하게 나오는데 배추김치가 없다. 그리고 찬들이 도저히 먹을 수 없을 정도로 짜다.  쩝

저 안에 고기들이 침수(?)해 있어서.. 가라앉아 있어서 보이진 않는데 고기가 많긴 정말 많더라.
뭐랄까... '찐득찐득한 걸죽한 국밥'이랄까.
영양죽-국밥같은 느낌.
몸보신되겠단 암시는 강하게 드는 반면, 과연 이게 국밥인가... 하는 회의도 좀 들고. 자고로 음식은 그 놈 마다의 색깔이 있는데, 국밥의 색깔은 '장터'음식이어야 한다는 게 내 생각이었는데, 이런 '고급 고깃집 요리, 국밥님'을 먹으니 어색했다.
맛있고, 양도 많고, 돈 아까운 건 절대 아닌데... 마치 잔치국수를 소고기 고명 띄우고 송이버섯 띄웠다고 8,000원 받고 파는 기분이랄까...

 

반응형

'식당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기역, 경발원 깐풍기  (6) 2008.12.02
과연 족발의 지존, 양재 영동족발  (6) 2008.11.27
신사동 한 잔의 추억, 삼성동 보노보노  (0) 2008.10.23
보노보노M  (7) 2008.07.29
마키노차야  (6) 2008.07.24
반응형
free to go.
반응형

'사진 중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메라  (8) 2008.11.13
2008. 여름  (6) 2008.10.25
길 위  (2) 2008.08.30
한남동 산책  (0) 2008.06.09
봄밤 한강 잠원지구  (2) 2008.05.30
반응형
심심한 콩국수

반응형

'식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취방 홈샤브샤브  (6) 2008.10.27
닭매운탕 등등  (6) 2008.10.23
짜파게티  (2) 2008.07.19
감자 옹심이  (4) 2008.07.17
고기 만두 만들기  (6) 2008.07.16
반응형
켄쇼 오뎅 세트라고 팔천 얼마 하길래 사서 해 먹었다.
일전에 분당 오리역 근처 오피스텔 일식주점에서 우동을 한 그릇 맛있게 먹었는데 황태로 국물을 냈다길래 황태를 썼더니 정말로 맛있었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사진 중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 여름  (6) 2008.10.25
한강공원  (2) 2008.09.09
한남동 산책  (0) 2008.06.09
봄밤 한강 잠원지구  (2) 2008.05.30
낯선 길들, 사진 모음  (7) 2008.02.07
반응형

'약속하면서 동시에 실언하는', 나의 '수사'.
반응형

'밑줄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짓된 진실>  (2) 2008.10.11
연인을 사랑하는 이유  (5) 2008.10.07
2008.6.27  (3) 2008.07.03
oh my twein  (0) 2008.06.09
산상수훈  (0) 2008.06.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