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 예찬.

마트나 시장에서 무만 보면 '사고싶어', '윽 갖고싶다', '무를 사야할 것 같아'라는 생각에 지배당하는 나.
삐져썰어 넣는 무국, 채썰어 먹는 무나물, 깍둑썰기하는 아삭한 깍두기...
무란 것은 정말이지 양배추처럼 천의 맛을 내는 채소.
달기도 하고 들큰하게 느끼하기도 하고, 시원하기도 하고, 맵기도 하지.
무가 가장 맛있을 때는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찬 바람 맞아가며 첫서리 내리기 전에 먹는 무맛은
그야말로 천하의 과일이 두렵지 않을 절세의 맛. (표현 이거 뭐지?)
어쨋거나 가장 맛있을 때는 아니지만 무 한개를 사서 세끼를 해먹는다.


맑은 무국 (소금과 새우젓으로 간을 한다)

기본 공식:
무를 썰어 다진마늘과 함께 참기름에 볶다가 다시물을 넣고 10분 끓임. 상에 내기 전 파를 조금 넣으면 된다.
새우젓으로 간을 해서 새우젓 무국이라고도 함.

응용1 : 무를 참기름에 볶다가 → 다시물을 넣을 때 재료 투하 (대체로 해산물)
조개 무국  - 이때 만약 집에 조개가 있으면 다시물을 넣고 끓어오를 때 조개를 넣으면 되고,
굴 무국 - 굴이 있으면 굴을 넣으면 된다.
오징어 무국 - 오징어가 있으면 오징어를 넣으면 된다. (..)

응용2: 무랑 같이 재료를 볶다가 다시물을 부어줌. (대체로 고기나 건어물 종류)
소고기 무국 -  소고기가 있으면 무를 참기름에 볶을 때 국(조선)간장에 간을 해 둔 소고기를 함께 볶는다.
(마지막 간은 역시 소금으로. 왜 소고기를 국간장으로 해 두느냐면 그래야 간장의 맛이 처음부터
국물에 우러나와 맛이 깊이가 있어지기 때문.)
북어 무국 - 북어랑 무를 참기름에 볶다가 물 붓고 재료가 익어서 맛이 우러날 때까지 끓임.
다진마늘, 채썬 파 넣고 5분 더 끓이기.
무맛이 나기 위해 이때는 계란을 안 푸는 게 더 맛있다. 간은 소금으로.



매운 무국 (새우젓으로 간을 하는 것에 고추가루를 더하고, 참기름에 볶지 않는다. 더 칼칼하라고. 이거 정말 맛남!)

냄비에 물 600cc (세컵), 소금 1티스푼, 무 1/3 (약 15cm), 고추가루 1T, 다진마늘 1T 넣고 펄펄 긇이다가
마지막에 새우젓으로 간을 하고, 채썬 파 넣고 후루룩 쩝쩝.

응용:
경상도식 소고기 국밥
참기름 두르고 국간장에 간을 해 둔 소고기와 무를 볶음.
무가 익어가면 냄비에 '숙주(콩나물), 파 많이, 다진 마늘, 고추가루'를 넣고 중불로 3~40분끓임
간은 소금과 국간장으로 반반.



무나물
푹 익혀서 국물에 밥말아 먹으면 정말 맛난다 들기름의 고소함이란.. ㅠ_ㅠ...

냄비에 다시멸치 한 10마리 넣고,
무를 채썰어서 들기름을 좀 붓고 냄비에서 1분 볶음.
그리고 소금을 조금 뿌려 줌. (아주 슬쩍... 무의 숨이 죽으라고)
그리고 약불로 하고 두껑덮고 15분.

무나물+고추장+들기름 넣고 비벼먹기......................................!!!
(들깨가루 뿌려서 먹어도 좋다~)
반응형
반응형

봄나물 시리즈의 마지막 비름 나물이다.
곰취, 머위, 참취, 비름, 참 나물 다섯 가지 중 가장 먼저 해치운 것은 참나물.
샐러드처럼 겉절이로 해서 먹었더니 두 끼만에 쫑. 역시 신선한 채소 느낌이 강해서인듯.
그리고 곰취, 머위, 그리고 참취는 비슷비슷한 쌉싸름한 맛이라 고추장 양념, 간장 양념해서 2/3 정도 먹었다.
이런 쌉싸름한 봄나물은 고추장이나 된장 양념 보다는 그냥 액젓과 국간장에 살짝 버무려 먹는 것이
식감도 죽지 않고 맛이 가장 잘 살아나는 것 같다.
이제 마지막으로 비름 나물이 남아서 냄비에 소금 한 큰술 넣고 데쳐서 무쳤다.
이번에는 조금 색다른 맛을 위해 고추가루와 식초를 조금 더해봤다. (달래간장할 때 처럼)

고추가루 2T, 깨 2T, 다진마늘 2T, 양조간장 1T, 국간장 1T, 액젓 1T, 들기름 2T


그리고 찰싹 찰싹 때려가면서 무쳤다.
양념이 더 잘 스며들라는 의미로.



우리 과 사람들 중 몇몇은 요리를 즐기는데 스트레스가 쌓일 때 뭐하냐는 질문을 하면,
분노의 다시국물 내기...를 말한다.
뭐냐면 다시국물은 만들어 두기만 하면 늘 쓰이니까 버릴 일도 없고, 요리를 하면서 스트레스도 풀고..
그래서 다시국물을 만들어 두려다가 냉장고에서 근대가 시들어가길래 근대 된장국을 끓였다.
다시용 멸치, 다시마 넣고 끓으면 다시마는 건지고 멸치만 보글보글 한 5분 더 팔팔 끓임.

그리고 된장 3T, 고추장 1T (기호에 따라)을 풀고,
망을 사용해서 멸치랑 된장 콩을 걸러냈다. (더 깔끔한 국물이 되라고)
그리고 다듬어서 먹기 좋게 서너 등분 해둔 근대를 투하.
30분 끓임.
(중간에 고추 썰어 한개 정도, 다진마늘 1T 넣고, 액젓 1T, 소금 조금 넣어 간을 한다.
된장이 들어가 있어서 간은 되어 있지만 뭐 기호에 따라..)


보람차게 분노의 근대국을 끓이고 운동을 다녀왔다.
내일 아침에 한 번 더 끓여서 푹 익혀 먹어야지. 근대나 아욱 된장국은 푹 익으면 더 맛난다. 카레처럼...
근대가 둥둥 떠 있는 걸 보고 느낀건데... 서양사람들은 이걸보면 '풀죽'도 아니고.. 뭔가 하겠다 싶었음.
풀국...정도 되려나. 흠

근대를 4,000원 정도 주고 한 단을 샀으니까... 저걸로 세끼는 나오겠군.
반응형
반응형


양배추, 양파, 당근, 파와 같은 야채는 적당한 크기로 썰어둠.


오징어가 냉동이라 바로 같이 볶으면 물이 나와서 미리 슬쩍 데쳐두었다.


양념:
다진마늘 1T, 정종(소주) 2T, 설탕  3T, 쯔유(or 매실청 or 양조간장 2T에 사이다 3T섞기) 4T, 고추장 5T, 고추가루 1T, 새우젓1T
(더 매콤하게 하고 싶다면 풋고추나 청양고추를 기호에 따라 2개 정도 넣는다.)
이것을 하루 정도 숙성해서 쓰면 좋다. 그냥 쓸 때는 미리 다른 채소들 손질할 때 만들어두면 맛이 훨씬 좋음.

양념에 돼지고기(앞다리건 삼겹살이건)를 적당량 섞어서 무쳐둔다.
그리고 반 정도 익으면 오징어를 넣고, 야채를 올려서 비빔비빔~


냠냠


양배추를 몇 잎 떼서 쪘다.
멸치젓갈과 함께 밥을 먹어도 좋고, 양념간장을 만들어서 파 좀 썰어넣고 올려 먹어도 좋다.


반응형
반응형
싸길래 산 시금치와 곰취를 무쳐먹고 나니 계속 그 향과 알싸한 맛이 입에 남아서 더 먹고 싶었었다.
그런데다 <한국의 산나물>이란 다큐를 보고 필 받아서 아파트 장이 설 때 가서 주렁주렁 사왔다.
(낑낑거리면서 이리 기웃 저리 기웃... 한낮의 백수모드라니 으흣)
곰취는 그새 가격이 올라서 한 봉에 7-8천원을 하길래 접고,
씻어서 생으로도 먹을 수 있는 참나물, 그리고 데쳐서 먹는 비름, 머위, 산취 그리고
국으로 끓여 먹을 수 있는 아욱, 근대를 한 봉지씩 샀다.
마트에 곱게 손질된 곰취를 한 번 해 먹었을 땐 나물요리가 손이 많이 간다는 말이 이해가 가지 않았다.
하지만...
봉다리채 파는 나물들을 바리바리 사들고 와 보니 으어-
일일이 줄기 손질하고 흙털고... 힘들었다. T-T..
미드를 보면서 (the closer 최고다. 할아버지들 늠후 귀여워 어째 ;; ) 손질 방법을 메모해 둔 A4를 앞에두고,
물 한 잔 따라놓고 작업 시작.
(참취 나물 다듬는 중)

생으로도 먹을 수 있는 참나물.
줄기도 먹을 수 있다길래 같이 먹었는데 줄기는 맛이 없어서 다음 날 먹을 때는 줄기를 다 떼냈다.
그냥 먼저 먹으면 쌉쌀한 것이 향도 강한데, 참기름을 조금 발라 두고 상에 내기 직전에 양념을 해서 놓으면
매우 순한 맛이 된다.
(양념은 액젓1: 진간장2: 설탕1: 식초2: 마늘 1/3 고춧가루 약간)
설탕이 들어가서 새콤달콤해진다.
다른 나물들은 국간장(조선간장)으로 간을 하지만 얘는 샐러드처럼 먹는거라
달작지근한 진간장을 쓴다.

첫 날 해 먹은 참나물. 줄기도 먹는거라고 인터넷에 나와 있길래 먹어야 하는건줄 알고 다 먹음 (..)
사각사각... 싱싱한 잎이라 정말 맛있더라.

이건 줄기를 떼 낸 둘째 날 해 먹은 참나물.
하루 지났다고 잎에 상처도 많이 생겨서 풀이 좀 빨리 죽었다.
풀이 죽으면서 간장 양념이 스며들어가서 첫 날의 상큼함 보다는 겉절이 같은 진한 맛이 났다.

참나물이랑 곰취, 머위(고추장 양념한 것) 나물
나물 무침은 주로 간장양념과 고추장 양념이 있는데 그냥 어떤 맛인가 보려고 다르게 해 봤다.
간장양념: 액젓1, 들기름1, 들깨가루1, 다진마늘1, 조선간장1
된장양념: 다 동일하고 조선간장 대신 된장1
고추장 양념: 다 동일하고 초고추장과 집고추장 섞어서 입맛대로

전 날 해 먹어보니 고추장 양념은 입에 맛지 않았다.
그래서 둘째 날은 남은 곰취랑 머위를 섞어서 간장양념으로 해서 먹었다. 으아 맛났다.
역시 산나물엔 들기름! 들깨가루!!
(된장을 넣으면 너무 짜서 된장 양념도 입에 맛지 않았다.
오직 들기름, 들깨가루, 다진마늘, 액젓, 조선간장...이 최고였다. 삼삼한 것이...)

아욱으로 아욱된장국을 끓였다.
멸치다시물을 내서, 멸치를 건진 후
된장1, 고추장2를 국물에 푼다.
그리고 끓으면 아욱, 양파를 넣는다.
한소끔 끓으면 다진마늘 좀 넣고, 파 썰어 넣고 20분 푹 더 끓인다.
(푹 끓일 수록 아욱국은 맛있어지더라)

두부 넣어서 먹었당 냠냠
반응형
반응형


물 붓고, 다시용 멸치 10개 투하.
물이 끓으면 멸치를 건져내도 되고 놔둬도 괜찮고, 콩나물과 김치를 넣는다.
팔팔 끓으면 찬밥 넣고 3분 정도 더 끓이다가 먹는다.
(파나 버섯, 고추를 썰어 넣어도 되고)

시원하고 땀뻘뻘나면서 해장 완료
반응형
반응형

오뎅탕은 국물이 정말 시원해야하기 때문에 다시를 낼 때 콩나물과 무를 꼭 쓴다.
된장찌개에도 콩나물을 조금 넣어 다시를 내면 국물이 맑고 시원해진다. 된장의 짠기도 가시고..
(물론 라면에 넣어도 좋지)
어쨋거나 무, 대파, 대파뿌리 (뿌리를 다듬을 때 따로 보관해서 얼려두고 국물낼 때 쓴다),
콩나물, 다시마(끓으면 건저낸다. 쓴 맛이 나오니까), 다시용 멸치(갈았다가 티백에 넣어쓴다)를 넣고
팔팔 15분 정도 끓인다.
그리고 오뎅을 넣고 고추가루와 다진마늘을 한 스푼 정도 푹 떠서 넣고, 국간장으로 간을 했다.
(국간장 대신 멸치액젓이나 까나리액젓을 넣으면 국이나 나물무침이 한결 맛있다.)

일식 전문 식당에서는 우동이나 오뎅탕 국물을 낼 때 황태를 쓴다. 북어대가리나.
북어포가 있어서 몇 가닥 더 넣었더니 짭조름한 맛이 나서 좋았다.
(좀 더 일식 오뎅탕 느낌을 내려면 쯔유나 가츠오부시 가루 혹은 조미료를 넣으면 풍미가 살아난다.)


계란을 넣어뒀다가 톡 깨트려서 냠냠.
나는 푹 퍼진 오뎅이 좋아서 늘 15분은 더 끓였다가 먹는다. 또 냠냠
뭔가 허전해 보이는 게 심심한 오뎅탕이다.


며칠 전 곰취나물을 사서 1분 데치고 (끓는 물에 소금 1스푼 넣어서),
액젓 1스푼, 다진마늘 1스푼, 들깨가루 1스푼, 들기름 1스푼으로 양념을 해서 무쳐먹었는데
입안에 봄이 온 것 같아서 향긋했다.
(순간 오타로 입안에 '곰'이 왔다고 썼음;;)

그래서 오늘은 시금치를 꺼냈다.

오이맛고추가 남은 게 있어서 그냥 같이 무쳤다.


시금치의 반은 계란말이를 하는데 썼다. 계란말이는 처음 해 봤는데 어려웠다.
계란 5개 풀어서 반 정도를 팬에 붓고 위에 데친 시금치를 올리고, 둘둘 말았다.
그리고 다시 남은 반을 팬에 부어서 그 위에 또 말았다. 낑낑...
대충 불을 끄고 두껑을 덮어서 잔열로 익게 했더니 타지 않았다.
반응형

'식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나물, 산나물 그리고 아욱국  (7) 2009.04.23
10분 해장국, 콩나물김치 해장국  (4) 2009.04.23
볶음밥, 카레 오므라이스  (0) 2009.04.15
집에서 먹는 저녁  (4) 2009.03.20
닭곰탕, 초계탕  (5) 2009.03.04
반응형
3월 말에 강릉으로 모임을 다녀왔다.
여행이 아니었던터라 첫 날은 밥과 술과 묵힌 관계로 보내고 둘째 날은 각자의 일정대로.
가로수길이나 홍대 인근의 커피 전문점도 많지만,
테라로사에 가고 싶었던 것은 이곳이 단순한 커피 판매점이 아니라
이 도시의 사람들이 애정을 갖고 드나들며 함께 한다는 그 느낌을 보고 싶어서였다.
일요일 점심 무렵의 가족단위, 데이트하는 연인, 모녀가 나누는 차 한잔...
기대 이상으로 이 공간은 사람들의 사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서 위로가 많이 되었다.
위치한 곳도 북강릉 인터체인지 근처, 강릉 시내 외곽의 전원-농촌의 한적한 흙길에 있어서
동네 냄새, 흙냄새, 숲냄새, 사람 여운이 그득하게 있더라.
아, 이렇게 살고 싶어라.

입구

이 가게가 있는 동네 분위기. 옆집이고 앞집이고 어느 한 집 빼 놓을 곳 없이 평화로웠다.
적어도 평화가 감돌아 보이는 풍경.

이 길 따라 끝까지 가면 또 다른 골목이 있고, 너머엔 실개천도 흐르고.

지금 보니 꽤 흐렸던 날씨다. 간간히 빗방울이 떨어졌으니..

테라로사 전경.




반응형
반응형

역시 전에 만들어둔 만두가 너무 많아서, 만두피를 벗기고(꺅 야해) 만두속을 따로 내서 볶았다.
만두속에 기본적으로 돼지고기 간 것과 부추, 양파 등등과 간이 되어 있어서
볶으면서 청양고추 1개를 썰어 넣고 양조간장+꿀로 마무리.
청양고추가 살짝 매콤하고, 꿀을 넣어서 달작지근한 맛이 나서 맛있었음. (배고팠음)

얘네를 먼저 볶다가 밥 식혀 둔 것을 투하.

으아으아. 볶아서 고소하고 달작지근하다가 매콤한 맛.

닭고기 삶아서 얼려둔 것을 꺼내서 다지고, 감자 양파 넣고 카레.
역시 만두피 벗겨 낸 만두속에 밥을 볶아서 오므라이스를 만들고 합체.

속살을 드러낸 점심밥.
반응형

'식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분 해장국, 콩나물김치 해장국  (4) 2009.04.23
오뎅탕, 시금치 무침, 시금치 계란말이  (0) 2009.04.21
집에서 먹는 저녁  (4) 2009.03.20
닭곰탕, 초계탕  (5) 2009.03.04
곰국 보관하기  (0) 2009.03.03
반응형

피부재생에 좋다는 알부민이 한 통있어서 다 쏟아붓고,
히아루론산 역시 두 통 붓고,
봄이 다가와서 SPF를 좀 높여보자 싶어 티타늄디옥사이드를 넣고 만든 Day 에센스.
SPF는 10 미만인데다가, 좀 묽게 만들어서 바디용으로도 쓰려고 넉넉히 만들었다.
샤워 후에 바디로션 바르는 것을 매우 귀찮아하는 나로서는 묽은 에센스가 훨씬 편하다.
보습도 좋은데다, 흡수가 빨라 사용감이 가볍다.
알부민때문에 흰 에센스가 되었다.
반응형
반응형

예전에 빚어서 냉동고에 넣어둔 고기만두가 너무 많아서 김치장떡을 부쳤다.
만두 몇 개를 꺼내 만두피를 벗기고 나온 만두속에 김치와 고추를 넣어서 부침.


어떤 날 저녁엔 괜히 야식이 당겨서 크래미와 치즈봉.
한 며칠 크래미가 어찌나 먹고 싶던지 사나흘은 사 먹은 것 같다.


해장 콩나물?
그냥 가장 간편한 국 중에 하나라서 해먹은 콩나물국.
멸치다시물에 콩나물 넣고 10분 냄비 두껑 연 채로 끓이면 끝. 소금간, 파 좀 넣고, 마늘 다진 것 좀 넣고.


총각김치가 한 통이 있어서 해 먹은 총각김치찜.
총각김치소를 털어내고 물을 붓고 푹 끓이면 끝. 대신 30분은 끓여서 무가 물러지도록 해야한다.
젓가락을 넣었을 때 쑤욱 들어갈 정도로 물러지면 ok.
물을 좀 넉넉히 붓고 새우젓으로 간을 해도 되고, 그냥 자작하게 붓고 끓여 먹어도 굳굳!
저 시원한 맛은... 정말 최고다! 국수를 말아서 먹어도 좋더라.


참치김치찌개.
꽁치김치찌개를 먹고 며칠 지난 후 참치김치찌개.
김치를 참기름 한 스푼 두른 냄비에 볶다가 물을 붓고 한 번 끓으면, 참치나 꽁치 통조림 넣고
김치가 잘 익을 때까지 끓이면 된다.
된장찌개는 후루룩해서 끓으면 금방 끄고 먹는 찌개인 반면, 김치찌개는 10~15분은 끓여야 맛있다.


남자친구가 전도한 달래간장.
사진에는 몹시 흉측하게 나온 것 같아 서운하지만 캐비어처럼 세련되게 찍히면 달래간장이 아닌 것 같기도 하다.
달래를 쫑쫑 썰어 넣고, 들(참)기름, 식초 조금, 양조간장(맛간장), 고추가루도 슬슬 뿌려도 되고.
(자세한 제조방법은 절대 알려주지 않고 있지만 등 뒤로 주워 본 바에 의하면 대략 위의 레서피와 같다.)

살짝 구운 조선김에 따듯한 밥을 한 숟가락 얹고, 거기에 얘를 올려주면
세상에서 제일 푸근하고 다정한 집밥이 된다.
속이 허하고 괜히 눈물이 날 때는 이 달래간장을 먹어야 한다!
반응형

'식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뎅탕, 시금치 무침, 시금치 계란말이  (0) 2009.04.21
볶음밥, 카레 오므라이스  (0) 2009.04.15
닭곰탕, 초계탕  (5) 2009.03.04
곰국 보관하기  (0) 2009.03.03
총각김치찌개  (0) 2009.03.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