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군산 여행에서는 처음에 지미원에서 점심을 먹었다.

지미원은 궁중음식 전문 한정식 요리집이다.

어른들끼리 만나는 자리라, 조심스러워서 사진은 찍지 않았다.

4인 기준 한 상에 20만 원이란다. 3명이 와도 한 상을 먹으면 20만 원.

음식은 모두 정갈하고 따듯한 마음이 느껴졌다.

특히 돼지고기를 살짝 말린 후, 숯불에 고추장 양념을 발라 구운 돼지고기 고추장 구이는 최고였다.

내가 여지껏 먹어본 돼지고기 요리 중 가장 맛있었다.

그리고 깻잎 장아찌같은 것들은 평범한 장아찌라고 생각되겠지만, 그러기에는 매우 부드러웠다.

그런 게 내공인 것 같다.

장아찌가 그렇게 부드러울 수가 있다니...

민물 새우탕도 보드랍고 구수했다. 시원했다.

참, 잡채가 정말 맛있었다. 면이 보통 잡채면보다 가늘었는데 질기지도 않고 쫄깃한 것이 내 생애 최고의 잡채였다.

잡채같은 음식이 하기도 어렵고, 맛내기도 까다롭다.

적당히 비슷한 맛을 흉내낼 수는 있어도 깊은 맛을 내기는 어렵다.

 

아무튼, 지미원은 만족스러운 곳이었다.

 

그리고 우리 가족은 계곡가든 꽃게장에 가서 간장게장과 꽃게탕을 먹었고, 또 일해옥에서 콩나물국밥도 먹고, 대정소바에 가서 시원한 메밀국수도 먹었다.

군산은 정말 좋은 곳이다. ㅠㅠ

지난 군산 여행 때는 송정식당에서 먹은 아구찜과 곁들인 밑찬들이 최고여서 그리웠는데

이번 여행에는 미처 가지 못했다.

 

 

일해옥 콩나물국밥 식당 앞에 당당하게 선 남편.

왜 저기 서 있는지;;;

밥 먹고 기분이 좋았던 듯.

 

 

 

 

일해옥 앞 도로도 새로 단장이 되었네.

이 근처 어느 콩나물국밥집을 가도 다 맛있을 것 같다.

 

 

 

일해옥 좌측에 있는 군산복집

다음에는 여기 가 봐야지

 

 

 

여전히 맛있는 콩나물국밥

이거 먹으러 여기까지 왔어?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런 표준적인 콩나물국밥'은 또 어디에나 없다.

평범한 가정식같은 이런 콩나물국밥이 먹고 싶어도, 모두 그런 맛을 내는 것은 아니다.

콩나물국밥이라는 음식 자체가 평범한 음식이다.

그런 모든 평범함의 진수를 보여주는 일해옥.

밥알이 풀어지지 않고, 떡지지 않고, 적당히 부드럽다. 쌀냄새도 국물에 나지 않는다.

포근한 맛이다.

 

 

 

 

그리고 점심에 간 대정소바

일해옥 근처다.

 

 

 

대정소바, 대정칼국수.

대정칼국수라고 쓰여진 곳으로 열고 들어가면 테이블 좌석이 있고, 대정소바로 들어가면 좌식이 있다.

 

 

 

다 같은 집이다.

남편은 찬 음식이 싫어 칼국수를 주문했는데, 좀 아리까리한 맛이었다.

칼국수다운 맛이 아니고, 국같달까?

칼국수는 역시 경상도다.

 

 

 

 

세팅.

오른쪽에 살짝 보이는 물병에 있는 것이 소바 육수다.

 

 

 

 

대정소바 정식을 하나 시키고, 일반 소바 하나를 주문했다.

빈대떡과 물만두가 정식에는 달려 나온다.

다 맛있다.

특히 빈대떡은 갓 부쳐나와 무진장 맛있었다.

 

 

 

무 간 것과, 파 다진 것이 듬뿍 나와 좋았다.

파 다진 것은 너무 얇아서 고맙기까지 하더라.

 

 

 

 

국수 양도 많다.

김가루를 듬북 넣어 와구와구 먹었다.

역시 참 깨끗한 맛이다.

 

 

 

 

최고의 간장게장인 계곡가든 꽃게장.

은파호수근처에서 차를 타고 10여 분 나가야 한다.

 

 

 

입구

 

 

 

 

 

주차장도 넓다.

식당 오른쪽은 게장 공장이다.

 

 

 

 

 

들어가서 보이는 풍경

 

 

 

 좌측에 바로 홀이 있고, 직진하면 방이 나온다.

처음에는 가족끼리 와서 방으로 안내해 주었는데 아빠가 답답하다고 홀로 가자고 해서 방에서 나왔다.

 

 

 

 

간장게장 정식 1인분에 23,000원.

꽃게탕은 2인분 이상이고 역시 1인분에 23,000원이다.

 

 

 

간장게장 3인분과 꽃게탕 2인분을 주문했다.

바로 깔리는 밑찬들.

서빙하시는 분들도 모두 친절하시다.

 

 

 김치전, 미나리 무침, 도라지무침, 물김치, 사라다, 갓김치

 

다 맛있다.

 

 

톳무침, 새우마늘쫑 무침, 묵은지찜, 생선찜, 찐 양배추

 

저 묵은지찜 정말 맛있다 ㅠㅠㅠㅠㅠㅠㅠ

 

 

 

 

 

간장게장을 기대하고 꽃게탕은 기대하지 않았는데, 정말 맛있었다.

된장 베이스 육수에 구수하고 시원한 맛이다.

짜지도 않고 정말 게 맛이 잘 우러난 맛있는 탕이다.

아빠와 엄마는 이 탕만 드셨다.

 

 

 

 

꽃게탕~

 

채소도 듬뿍들었는데, 채소들이 다 싱싱하다.

 

 

 

 

 

흑흑

대망의 간장게장.

군산맛집하면 늘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식당이다.

사실 그런 포스트를 잘 믿지 않는다.

그래서 가기까지 고민하였다.

그러나 군산맛집이 맞다. ㅠㅠ.. 계곡가든은 군산맛집이 맞다 ㅠㅠ 아니 우리나라의 맛집이다.

 

보통 간장게장을 담글 때, 회전이 잘 되지 않으면 상할까봐 짜게 담게 된다.

가정집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계곡가든 꽃게장처럼 회전이 잘 되는 식당은 그럴 필요가 없다.

간장을 퍼 먹어도 짜지 않고, 적당히 달큰하다.

그러니까 꽃게맛이 살아있고 그대로 전해진다.

그만큼 또 꽃게가 싱싱해야 한다. 살짝 맛이 가서 비린 꽃게가 있으면 간이 세진다.

 

 

여긴 정말 맛있었다.

 

간장게장을 비려서 잘 못먹는데, 이 식당 게장은 그런 것이 없었다.

정말 너무 달고 고소해서 숨쉬지도 않고 먹었더니..

남편도 놀라고, 특히 아빠는 더 놀라셔서...

1인분을 더 시켜줄까? 라고... ㅠㅠ

 

 

 

3인분 간장게장

 

 

 

이 식당이 참 인상적이었던 것이, 화장실에 일회용 치솔이 가득 꽂혀 있다.

누구든 양치질을 할 수 있고, 손가락 구석구석 씻을 수 있다.

그리고 신발장에도 "분실시 100% 책임집니다."라고 써 두셨다.

또 몸이 불편하신 분은 앉아서 신발을 벗고 신으라고 의자도 놔두었다.

작은 서비스인데도, 크게 다가온다.

들어가고 나갈 때도 모두 기분좋게 다닐 수 있는 곳이다.

 

반응형
반응형

 

전후 일본의 풍경 군산 근대 건축 여행 : http://rednotebook.tistory.com/1560

구 군산세관 : http://rednotebook.tistory.com/1563

히로쓰 가옥 : http://rednotebook.tistory.com/1567

동국사 : http://rednotebook.tistory.com/3

적산가옥들과 거리 풍경 : http://rednotebook.tistory.com/2

일본과 조선의 역사, 내항 :  http://rednotebook.tistory.com/5

이영춘 가옥 : http://rednotebook.tistory.com/1126

구 조선은행, 구 십팔은행, 백년광장 : http://rednotebook.tistory.com/7

군산 먹거리, 쌍용반점의 짬뽕과 송정식당 : http://rednotebook.tistory.com/1561

 

 

 

1. 빈해원

빈해원은 구 조선은행 맞은 편에 위치한 청요리집.
40년대 말 즈음 시작해서, 50년대에는 성업을 이룬 화려한 곳.
잠깐 설명을 곁들이자면 구 조선은행 거리는 일본인들이 모여 살던 계획 지대였고,
바로는 내항이 있고, 세관과 각종 창고들, 은행들이 있던 신 시가지고 국제도시였다.
그런 곳 곁의 청요리집이니 크기나 가세가 기본 이상은 된다.
군산의 장미동(쌀을 가둔다는 뜻) 일대 모두가
지금은 마치, 시간이 정지한 상태마냥 아스라하고 기이한 곳이지만
특히 이 빈해원은 그 절정에 이르렀던 것 같다.



겉은 송정식당마냥 이층 벽돌 건물인데 여닫이문을 열고 들어가면 엄청 크다.

홀 중앙에 테이블이 놓여 있고, 양 곁으로 역시 방이 마련되어 있어 조용한 겨울 오후를 보내기에 더할 나위가 없었다.

방 안의 문. 벽지며, 문이 단단하다.

탕수육을 잘 한다고해서 작은 것을 하나 시켰다. 만 원
튀김옷이 얇고 고기가 두툼해서 씹으면 육즙이 느껴진다.
너무 쫄깃하거나, 너무 바싹 튀겨 바스락거리지 않아서 다행이었다.
올려낸 소스는 좀 달다.

물만두 보다는 낫다하여 시킨 군만두.
여행내내 만두를 못 먹어서 시름시름 앓고 있었는데 (거짓말) 오아시스였다.
하지만 구운 만두가 아니라 튀긴 만두여서 아쉽...
만두 속은 제대로였다.
(역시 만두는 만두집에 가서 먹어야 한다는...걸 깨달았다.)

구경도 할 겸 2층으로 올라가면, 빈해원의 규모가 드러난다.

어휴, 복도가 정말... 
지금은 이 방 구석구석마다 사람이 들어찰까..싶기도 하고, 뭐 그렇더라.

2. 일해옥

일해옥은 콩나물국밥집이다.

전주식 콩나물 해장국인데 국물이 깊고 쌀알이 하나하나 엉기거나 뭉개지지도 않았다.
아침에 해장으로 먹은 것인데 정말 든든하더라.
다만 김이 올려져 있던 것이 거슬리는데, 김이란 게 워낙 센 맛이 되어서 다른 국물냄새까지 막아버려
여간하면 멸치국물 같은 곳엔 잘 안 넣어 먹는다.
여기는 밑 찬으로 고추 장아찌와 깍두기를 주는데, 이 깍두기가 으아... 환상의 맛이다.
무가 맛있기도 맛있는 것이었겠지만 깍두기 간이며 익힌 정도가 100% 깍두기의 맛이었다.

3. 이성당

이성당은 1920년대에 개업한 우리나라 최초의 베이커리다.
단팥빵이 유명하다고 해서 먹고, 단팥죽 대신 딸기가 올라오는 팥빙수를 먹었다.
추운 날 덜덜 떨면서 먹으면서도 머리 속은 온통 <이런 팥빙수 서울에는 없을까, 이거 싸갈까>를 궁리했다.

이 외에도 군산에서 손꼽히는 기본 식당들로는,
금강 하구둑의 백합 칼국수, 회타운의 횟집들, 곱창골목의 매콤한 나리곱창, 군산에만 있다는 물짜장,
군산 분식 특유의 '잡탕'이 유명한, 잡탕 전문점 두줄 (442-4824)이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