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내
위안을 주는 글들이다. 철학자라기 보다는 사상가라기 보다는, 아직은 에세이스트에 불과하다고 하는 말들에도 여전히 우리가 벤야민을 뜨겁게 숨기는 이유. 내가 벤야민을 처음 만난 건, 파리에 관한 그의 도시 공간에 관한 글들이었다. 나는 언제나 사물을 사랑한다는 말 외에는 달리 어떤 정감과, 감흥, 심리를 설명할 길이 없었는데 '실내'라는 모티브로 새 이야기를 꺼내는구나. 사실 이 글이 어떤 이야기에서 나온 말인지, 또 이 글을 전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포우는 왜 등장을 하였는지, 중간계급의 민간 시민이라는 것이 어떤 지위인지 등등. 하지만 "세계로 가는 길", "인간존재", "물건", "고되게 사용되는 일(노동)", "흔적"에서 하이데거의 소논문 <예술작품의 근워>이 겹쳐서 한결 독해의 경험이 풍부해진다.
수집가는 멀어지거나 지나가버린 세계로 가는 길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나은 길을 꿈꾼다. 이 한결 나은 길에서 인간존재는 어쨌든 간에 일상세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받지만, 물건은 고되게 사용되는 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중략
거주한다는 것은 흔적을 남긴다는 것이다. 실내에서 이것은 두드러진다. 침대이불과 의자담요, 그릇과 용기가 꽤 많이 발명된다. 이것들에 대부분의 일상적 소비대상의 흔적이 남게 된다. 똑같은 식으로 거주민의 흔적이 실내에 남게 된다.
위안을 주는 글들이다. 철학자라기 보다는 사상가라기 보다는, 아직은 에세이스트에 불과하다고 하는 말들에도 여전히 우리가 벤야민을 뜨겁게 숨기는 이유. 내가 벤야민을 처음 만난 건, 파리에 관한 그의 도시 공간에 관한 글들이었다. 나는 언제나 사물을 사랑한다는 말 외에는 달리 어떤 정감과, 감흥, 심리를 설명할 길이 없었는데 '실내'라는 모티브로 새 이야기를 꺼내는구나. 사실 이 글이 어떤 이야기에서 나온 말인지, 또 이 글을 전부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포우는 왜 등장을 하였는지, 중간계급의 민간 시민이라는 것이 어떤 지위인지 등등. 하지만 "세계로 가는 길", "인간존재", "물건", "고되게 사용되는 일(노동)", "흔적"에서 하이데거의 소논문 <예술작품의 근워>이 겹쳐서 한결 독해의 경험이 풍부해진다.
수집가는 멀어지거나 지나가버린 세계로 가는 길뿐만 아니라 그것보다 나은 길을 꿈꾼다. 이 한결 나은 길에서 인간존재는 어쨌든 간에 일상세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받지만, 물건은 고되게 사용되는 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중략
거주한다는 것은 흔적을 남긴다는 것이다. 실내에서 이것은 두드러진다. 침대이불과 의자담요, 그릇과 용기가 꽤 많이 발명된다. 이것들에 대부분의 일상적 소비대상의 흔적이 남게 된다. 똑같은 식으로 거주민의 흔적이 실내에 남게 된다.
반응형
'밑줄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란 쿤데라, 사랑 (0) | 2007.05.19 |
---|---|
신뢰감이 안 드는 사람 (2) | 2007.04.17 |
머리가 좋다고 생각하는 당신에게 (4) | 2006.11.16 |
서준식, <옥중서한>중에서 (5) | 2006.11.03 |
책 밑줄, <세상 끝의 사랑> 마이클 커닝햄 (0) | 2006.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