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칸트는 이미 미적인 경험과 관조를 동일시했다. 쇼펜하우어는 관조가 유일한 탈출 유형으로 … 모든 다른 경험 유형들 속에 우리를 빠져들게 하는 지속적 의지로부터 우리 자신들을 자유롭게 한다는 것을 주장했다.

… 도덕의 위대한 비밀은 사랑이거나 혹은 사유, 행위, 혹은 우리 자신이 아닌,  사람의 속에 존재하는 아름다움과 우리 자신을 동일시하는 것과 우리의 본성 밖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탁월하게 선한 사람은 강렬하고도 지각력 있게 상상해야만 한다."라고 쉘링은 말했다.

- John Dewey, The Later Works of John Dewey

그래서 비도덕적인 사람의 모습은 추하다. 그는 미에 대한 자신의 눈이 없다. 다른 이들이 아름답다고 하는 것을 관찰하고 습득할 뿐이다. 그는 관찰은 할 수 있어도 관조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반응형

'밑줄 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ston legal season 1, ep. 12  (3) 2007.10.19
holden, my boy  (3) 2007.07.10
밀란 쿤데라, 사랑  (0) 2007.05.19
신뢰감이 안 드는 사람  (2) 2007.04.17
벤야민의 글  (11) 2007.02.14

+ Recent posts